프로그래머스 Level1 : 예산

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000원을 지원해야 하며, 1,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d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이며, 길이(전체 부서의 개수)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d의 각 원소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을 나타내며, 부서별 신청 금액은 1 이상 1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budget은 예산을 나타내며, 1 이상 10,0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d budget result
[1,3,2,5,4] 9 3
[2,2,3,3] 10 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각 부서에서 [1원, 3원, 2원, 5원, 4원]만큼의 금액을 신청했습니다. 만약에, 1원, 2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예산 9원에서 7원이 소비되어 2원이 남습니다. 항상 정확히 신청한 금액만큼 지원해 줘야 하므로 남은 2원으로 나머지 부서를 지원해 주지 않습니다. 위 방법 외에 3개 부서를 지원해 줄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원, 2원, 3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6원이 필요합니다.
  • 1원, 2원, 5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8원이 필요합니다.
  • 1원, 3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8원이 필요합니다.
  • 1원, 3원, 5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9원이 필요합니다.

3개 부서보다 더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으므로 최대 3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10원이 됩니다. 따라서 최대 4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해설

더 간단히 짤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다음과 같이 짰다.

1
2
3
4
5
6
7
8
9
10
def solution(d, budget):
    answer = len(d)
    d.sort()
    while budget > 0 and len(d) > 0:
        budget = budget - d.pop(0)
        if budget  == 0:
            answer -= len(d)
        elif budget <0:
            answer -= (len(d) + 1)
    return answer

다른 풀이 보니 아래처럼 간단히 할 수 있는데, sum때문에 시간 복잡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1
2
3
4
5
def solution(d, budget):
    d.sort()
    while budget < sum(d):
        d.pop()
    return len(d)

프로그래머스 Level1 : 비밀지도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1.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2.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3.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4.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형식

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 과 2개의 정수 배열 arr1, arr2가 들어온다.

  • 1 ≦ n ≦ 16
  • arr1, arr2는 길이 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
  •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 n 이하이다. 즉, 0 ≦ x ≦ 2n - 1을 만족한다.

출력 형식

원래의 비밀지도를 해독하여 '#', 공백으로 구성된 문자열 배열로 출력하라.

입출력 예제

매개변수
n 5
arr1 [9, 20, 28, 18, 11]
arr2 [30, 1, 21, 17, 28]
출력 ["#####","# # #", "### #", "# ##", "#####"]
매개변수
n 6
arr1 [46, 33, 33 ,22, 31, 50]
arr2 [27 ,56, 19, 14, 14, 10]
출력 ["######", "### #", "## ##", " #### ", " #####", "### # "]

해설

프로그래머스 레벨 체크때 풀었던 문제다. 그때는 시간제한이 있어서 비트 연산을 잘 몰라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번엔 찾아가면서 풀었다. 그 당시 꽤 긴 코드였는데 아래처럼 줄일 수 있었다.

1
2
3
4
5
6
7
def solution(n, arr1, arr2):
    transform = lambda x : x.replace('1', '#').replace('0', ' ')
    answer = []
    for i, j in zip(arr1, arr2):
        answer.append(format(i|j, '%db'%n))
    answer = list(map(transform, answer))
    return answer

transformmap을 쓰는것 대신에 append안에 다 떄려박고 answer.append대신에 arr1[i]=식으로 인덱스까지 사용하면 3줄로도 줄일 수 있을 것 같다.

1
2
3
4
def solution(n, arr1, arr2):
    for idx, (i, j) in enumerate(zip(arr1, arr2)):
        arr1[idx]=format(i|j, '%db'%n).replace('1', '#').replace('0', ' ')
    return arr1

나는 비트 연산 후 부족한 자리를 format으로 채웠는데, rjust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더라.

1
2
3
4
5
6
7
8
9
def solution(n, arr1, arr2):
    answer = []
    for i,j in zip(arr1,arr2):
        a12 = str(bin(i|j)[2:])
        a12=a12.rjust(n,'0')
        a12=a12.replace('1','#')
        a12=a12.replace('0',' ')
        answer.append(a12)
    return answer

프로그래머스 Level1 : 실패율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 5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stages의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 stages에는 1이상 N + 1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
  •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
  •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한다.

입출력 예

N stages result
5 [2, 1, 2, 6, 2, 4, 3, 3] [3,4,2,1,5]
4 [4,4,4,4,4] [4,1,2,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번 스테이지에는 총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1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1 번 스테이지 실패율 : 1/8

2번 스테이지에는 총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2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2 번 스테이지 실패율 : 3/7

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3 번 스테이지 실패율 : 2/4
  • 4번 스테이지 실패율 : 1/2
  • 5번 스테이지 실패율 : 0/1

각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다.

  • [3,4,2,1,5]

입출력 예 #2

모든 사용자가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으므로 4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1이며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이다.

  • [4,1,2,3]

해설

최대한 간단히 짰는데, for문이 너무 많다. 줄일 방법이 없을까.

1
2
3
4
5
6
7
8
9
def solution(N, stages):
    stage = [stages.count(i) for i in range(1, N+2)]
    failrate = [stage[i]/sum(stage[i:]) if sum(stage[i:])!=0 else 0 for i in range(N)]
    answer=[]
    for value in sorted(failrate, reverse=True):
        high=failrate.index(value)
        answer.append(high+1)
        failrate[high]=-1      
    return answer

다른 사람 풀이를 보니 for문 하나로 끝낼 수 있더라. 내가 sum으로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를 계산 한 반면, 가장 낮은 단계에는 모든 플레이어가 통과하고, 각 단계마다 통과한 사람을 빼는 식으로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를 계산해서 푸는 방식이다. 아래 방식이 더 좋은듯

1
2
3
4
5
6
7
8
9
10
11
def solution(N, stages):
    result = {}
    denominator = len(stages)
    for stage in range(1, N+1):
        if denominator != 0:
            count = stages.count(stage)
            result[stage] = count / denominator
            denominator -= count
        else:
            result[stage] = 0
    return sorted(result, key=lambda x : result[x], reverse=True)

프로그래머스 Level1 : 다트 게임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1.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2.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3.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4.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5.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6.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7.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8.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9.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입력 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 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제

예제 dartResult answer 설명
1 1S2D*3T 37 11 * 2 + 22 * 2 + 33
2 1D2S#10S 9 12 + 21 * (-1) + 101
3 1D2S0T 3 12 + 21 + 03
4 1S*2T*3S 23 11 * 2 * 2 + 23 * 2 + 31
5 1D#2S*3S 5 12 * (-1) * 2 + 21 * 2 + 31
6 1T2D3D# -4 13 + 22 + 32 * (-1)
7 1D2S3T* 59 12 + 21 * 2 + 33 * 2

해설

코드를 짧게 줄이는 게 참 어렵다. split메소드를 사용하기도 쉽지 않아서, 문자열에서 하나 하나 읽어서 처리했다. 10은 문자 두개이므로 처리하기 까다로워서 k로 바꿔서 처리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def solution(dartResult):
    answer = []
    char = {'S' : 1, 'D' : 2, 'T' : 3}
    char2 = {'*' : 2, '#' : -1}
    for i in dartResult.replace('10', 'k'):
        if i in char.keys():
            answer[-1] **= char[i]
        elif i in char2.keys():
            answer[-1] *= char2[i]
            if len(answer) > 1 and i=='*':
                answer[-2] *= 2
        else:
            if i == 'k':
                answer.append(10)
            else:
                answer.append(int(i))
    return sum(answer)

Leave a comment